+ Market Overview 주요지수현황
질문&자유게시판

 

진입 간격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2 오늘도 4 2,766 2017.10.23 21:16

거래를 하다보면 물타기 매매의 특성상 한쪽 방향으로 되돌림을 주지않는 추세를 만나면


마진콜의 위험을 감수해야 되는 것은 이해 했습니다.


하지만 최대한 마진콜을 피하고 싶은 것도 모든 투자자들의 마음일것인데


진입간격을 어떻게 정해야 될지 모르겠네요


투자하시는 모든분들이 각각 의 간격이 다를 것이라 생각이 들긴 하지만


마진콜이 어떻다는걸 말로만 들었지 직접 격어보질 않에 피부에 와닿지가 않네요


진입간격을 어떻게 계산해서 진입해야될지 힌트 좀 주세요


고수님들의 답변 부탁드립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17.10.23 22:10
통화쌍마다 차이는 조금씩 있지만 대체로 비슷합니다. 유로달러를 예를들면 만약 100핍정도를 버틸수있게끔 물타려 한다면...
100핍가량을 버티려면 몇틱간격으로 물타야할지 진입랏수는 어떻게 해야할지는 대략 계산해 보시면 쉬울겁니다. 이건 글로써 직접언급하기 조금 곤란한 내용입니다. 이 정도를 벗어나는 변동폭이 나오면 마진콜이 되겠지만 항상 그런것은 아닙니다. 반대편에도 물량이 있다면 그것때문에 버틸수 있는 핍은 100핍을 넘게되기때문이죠. 만약 100핍을 넘어서 200핍을 버티고 싶다면 랏수를 줄이거나 물타는 간격을 확 벌리거나 둘 다 하거나의 방법이 있고... 50핍을 버티게 한다면 물타는 랏수를 늘리거나 물타는 간격을 좁히거나 둘 다 하거나의 방법이 있습니다.

버티는 핍수를 크게하자면 큰변동폭에도 잘 버틴다는 장점이 있고, 수익률이 줄어들고 되돌림을 훨씬 많이 주어야 청산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버티는 핍수를 적게하자면 큰변동폭에 잘 못버틴다는 단점이 있지만, 수익률이 크고 되돌림을 조금만 주어도 청산된다는 장점이 있죠....

따라서 어디에 중점을 두고 물타는 간격과 진입랏수를 정할것인지가 관건이고 이건 순전히 경험으로만 알게되는것입니다.
이걸 언급하는건 어렵지 않지만 브로커를 직접언급하는건 광고나 홍보의 문제가 있어서 언급못하는것과 마찬가지로 이것도 그렇습니다.
몇번 마진콜 당하면서 찾아지는데 한두달이면 될정도로 쉽게 찾아집니다만 초기 시작때는 막연하게 느껴지고 답답한것이 사실입니다.

그래서 먼저 경험한 저나 다른 회원님들 특히나 원조님같은 분들의 조언이 크게 도움이 되죠.
마진콜 몇번당하고 한두달 걸려서 알게되는 경험치를 조언듣고 하루이틀이면 알게되니까요.
다만 말씀드렸듯 홈페이지에서 직접언급은 곤란하므로 오프라인으로 말씀드리는건 가능합니다만 아무래도 찾아오시는건 어려움이 있으실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일단은 크게 어려운게 아니니 혼자 해보시고 벽에 막혔다 싶으시면 번거롭더라도 원조님을 찾아뵙고 차 한잔 하시는게 가장 좋지 않으실까 말씀드려 봅니다. 괜히 원조님이겠습니까. 다른 어떤분들보다 그분의 조언이 도움이 될겁니다....^^
2 오늘도 2017.10.23 23:42
역시나 투자는 자기 자신의 경험이
제일 중요하군요
나름대로 제 성격에 맞는 구간을 찾아 보겠습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1 나도야 2017.10.28 13:55
아직 모투를 하고있는 초보자  입니다.
하지만 물타기 방법에 대하여 조심스런 이의 제기를 하고자 합니다.
물론 마진이 여유가 있어 느긋하게 돌림을 기다리면 언젠가는 수익 전환을 하겠지만
리스크를 안아야 하는 부담이 있습니다
손절 청산이나 헷지 또는 반대 포지션에 무게를 더 싣는게 기회 손실을 최소화 하지 않을까요
무엇 보다도 차트를 읽는 눈과 마인드 컨트롤로 어떠한 경우에라도 평상심을 갖는 훈련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
1 우리 2022.09.28 21:23
감사합니다

 

MetaTrader 커뮤니티
+ 주요시장현황